경제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테이퍼링’이라는 단어를 한 번씩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미국의 테이퍼링이 이르면 11월 중순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있고, 우리나라 주식,채권시장의 불안도 가중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테이퍼링 뜻과 테이퍼링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테이퍼링 뜻
테이퍼링은 초저금리 상태에서 경기부양을 위해 중앙은행이 정부의 국채나 금융자산의 매입으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던 양적완화 정책을 점차 축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양적완화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인데요.
테이퍼링은 영어로 tapering으로 ‘점점 가늘어지다’는 의미로 2013년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처음 언급한 용어입니다.
2. 테이퍼링 영향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초저금리를 유지하면서 매달 850억 달러 규모를 시장에 공급했습니다.
미국은 실업률이 낮아지고 제조업 지표가 개선되는 등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통화를 과도하게 공급할 경우 물가 상승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2013년에 테이퍼링 정책을 시작했습니다.
2013년 12월에 750억 달러, 2014년 1월에 650억 달러로 시장에 공급하는 달러 규모를 줄였습니다.
하지만 테이퍼링으로 달러 가치와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세계의 돈이 미국으로 회수되면서 신흥국들은 통화가치의 급락 등 위기를 겪었습니다.
미국의 테이퍼링 시행으로 인해 2014년 1월 신흥국의 증시는 6.7% 하락했고, 코스피는 3.1% 하락했습니다.
3. 한국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미국은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4%,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심각한 인플레이션 상황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11월 3일 열리는 FOMC 연방시장공개위원회에서 매달 1200억 달러의 채권을 매입하는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테이퍼링 조치를 이르면 11월 중에 실시할 것으로 보입니다.
테이퍼링이 시작되면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 주가 하락이 예상되며, 환율과 금리도 상승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하지만 테이퍼링이 오랫동안 언급되어 왔고, 시장에 선반영 된 부분도 있어 단기적인 하락으로 전망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오늘은 테이퍼링 뜻과 영향, 그리고 한국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식채움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오엘리먼트, 지오엘리먼트 공모 일정, 지오엘리먼트 기업 현황 및 전망 (1) | 2021.11.03 |
---|---|
슬로우플레이션, 슬로우플레이션 뜻 (3) | 2021.11.02 |
뱅카우, 뱅카우의 모든 것 (0) | 2021.11.02 |
스태그플레이션 스테그플레이션 뜻과 원인 (4) | 2021.10.30 |
미국 배터리 시장의 성장 (5) | 2021.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