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74

'EU 택소노미' 간단 정리

2월 3일에 윤석열 후보와 이재명 후보의 대선 토론이 있었는데요. 이 때 여러 낯선 용어들이 나왔고, 윤석열 후보가 단어의 뜻을 모르면서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최근 이슈가 된 EU 택소노미, EU택소노미와 원자력, K 택소노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U택소노미 뜻 EU택소노미의 정확한 용어는 그린 택소노미입니다. 녹색과 환경을 의미하는 ‘그린’과 분류체계를 의미하는 ‘택소노미’의 합성어인데요. 택소노미는 그리스어로 ‘분류하다’의 뜻인 taxis와 ‘과학’을 의미하는 nomos가 합쳐져 만들어진 Taxonomy라는 단어로 생물학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EU 택소노미는 그린 택소노미, 녹색산업 분류체계라는 뜻입니다. 택소노미는 친환경 산업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2. EU 택..

퍼스텍, 로봇관련주 (삼성전자 M&A)

퍼스텍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지난 1월에도 삼성전자가 로봇 분야 기업 M&A를 추진한다는 소식에 퍼스텍 주가가 급등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번 퍼스텍 주가가 상승한 데는 로봇 산업 투자의 적기라는 증권가의 분석 때문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퍼스텍이 어떤 기업인지, 퍼스텍 사업현황과 퍼스텍 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퍼스텍 퍼스텍은 1975년에 설립되어 1989년에 상장한 방산 전문업체입니다. 퍼스텍은 국가 방위사업체로 지정된 이후 T-50, 수리온, 단거리지대지, 지대공 유도무기,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차 등 굵직한 체계사업에 참여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발사통제장비, 구동장치, 환경조절장치, 열교환기, 자동소화장치 등을 개발·생산하며 퍼스텍의 기술 및 품질을 인정받고 ..

지식채움/경제 2022.02.05

중대재해처벌법이란?

2022년 1월 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논란이 있는 가운데 최근 삼표산업이 중대재해처벌법 1호가 되었는데요. 오늘은 중대재해처벌법이 무엇인지와, 중대재해처벌법 논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중대재해처벌법 중대재해처벌법은 노동자, 시민이 숨지는 등 사업장에서 중대재해가 발생했을 때, 사업주·경영책임자 등이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 등 관련 의무를 위반했다면 1년 이상의 징역 및 10억원 이하의 형사처벌을 받도록 하는 법입니다. 단, 5인 미만 사업장에는 적용되지 않고 50인 미만 사업장은 2024년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했더라도 의무 위반이 발견되지 않으면 처벌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중대재해처벌법 논란 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 대상에서 5인 ..

마기꾼, 마기꾼 뜻

마기꾼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코로나19로 신조어들이 많이 탄생했는데요. 오늘은 그 중 ‘마기꾼’이 무엇인지 마기꾼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마기꾼 뜻 마기꾼은 마스크와 사기꾼을 합친 신조어입니다. 마스크를 썼을 때 외모가 출중했는데 마스크를 벗으면 완전히 달라지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인데요. 보통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의 외모가 벗었을 때보다 더 나을 때 마기꾼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코 위의 얼굴이 유독 잘생기거나 예쁜 사람들이 마기꾼이 되겠네요. 2. 마기꾼 등장 최근 여러 유튜브 채널에서 마기꾼 사진들을 볼 수 있는데요. 유명 유튜버 랄랄은 ‘마기꾼 대회’를 열기도 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본인의 사진을 보내서 재밌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여기에는 최근 스우파로 유명한 라치카 멤버들도 있었..

에스디바이오센서, 진단키트 대장주

설 연휴를 마치고 재개된 국내 증시에서 진단키트주가 급등했습니다. 자가검사키트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면서 진단키트주가 강세를 보인 것인데요. 오늘은 진단키트 대장주인 에스디바이오센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에스디바이오센서 에스디바이오센서는 2010년 12월 27일 에스디(현, 한국애보트진단)의 바이오센서 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된 회사입니다. 면역 및 분자진단 연구개발 확대와 경영 효율성 확보를 위해서 2016년 바이오넥스트를 합병했습니다. 2021년 7월에 코스피 시장에 신규 상장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분자진단, 면역화학진단, 현장진단, 자가혈당측정 분야에 주력하고 있고, 'STANDARD M', 'STANDARD Q' 등에 대해 연구개발 및 판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지식채움/경제 2022.02.04

SM C&C 알아보기(SM C&C 주가 급등 이유)

최근 CJ ENM이 넷마블 주식의 일부를 팔아 SM 지분 인수 자금으로 쓸 것이라는 보도로 SM C&C의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했는데요. 오늘은 SM C&C가 어떤 기업인지, SM C&C의 실적 및 주가 급등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SM C&C SM C&C는 광고업, 영상콘텐츠 제작사업, 매니지먼트 사업, 여행사업 등을 영위하는 미디어기업입니다. 광고업은 다양한 업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고 전체 매출의 6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NCT life, 레드벨벳의 레벨업 등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해 국내 OTT플랫폼에 제공하고 있고 전체 매출의 15%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SM C&C 실적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증가, 영업손실은 57..

지식채움/경제 2022.02.04

싱어게인2 64호 가수 서기 알아보기

싱어게인2를 보는데 너무 아기같은 참가자가 있더라구요. 남자인듯 여자인듯 중성적인 매력을 가진 갓 20세가 된 싱어게인2 64호 가수가 우리 부모님 세대의 노래를 완벽하게 불러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싱어게인2 64호 가수 서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싱어게인2 64호 가수 서기 프로필 싱어게인2 64호 가수 서기는 2002년 생으로 갓 20살이 된 씨엔디 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입니다. 2020년에 ‘과제’라는 앨범으로 데뷔했고 고교시절 경향실용음악콩쿠르 보컬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한 이력이 있습니다. 2. 싱어게인2 반응 64호 가수 서기는 등장부터 신선한 반응이었는데요. 가장 어린 참가자에서 7080 세대의 음악으로 반전을 선사하고, 마지막 압권은 전혀 춤과 상관없을 것 같은 모습으로 BT..

싱어게인2 33호 가수 김기태 알아보기

요즘 싱어게인2의 인기가 엄청난데요. 그 중에 33호 가수 김기태님이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힐만큼 실력과 화제성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싱어게인2 33호 가수 김기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싱어게인2 33호 가수 김기태 프로필 33호 가수 김기태님은 1983년 생으로 동아방송예술대학을 졸업하고 늦은 나이에 데뷔를 했습니다. 데뷔를 하고 무명생활을 13년이나 견뎠다고 하는데요. 가수를 포기할만큼 슬럼프에 빠졌을 때쯤 너의 목소리가 들려(너목보)라는 방송에 출연하게 됩니다. 그때 33호 가수 김기태는 임재범과 더원의 노래를 불러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앨범이 큰 인기를 끌지 못하고 잊혀지고 있었는데요. 이번 싱어게인2에 출연하면서 우승 후보로 거론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전망

LG에너지솔루션이 1월 27일 상장을 앞두고 따상을 기록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LG에너지솔루션의 청약 증거금은 국내 IPO 역사상 최대인 약 114조 1천원, 청약 참여인원은 442만 4천명으로 집계되었는데요. 오늘은 LG에너지솔루션이 어떤 회사인지, LG에너지솔루션 따상과 LG에너지솔루션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업체로 현재 글로벌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하는 기업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2019~2021년 배터리 출하 성장률은 연평균 111% 정도로 시장성장률(48%)을 크게 상회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매출이 급격히 성장했고 향후에도 매출 고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LG에너지솔루션 따상 따상은 시초가가 공모가..

지식채움/경제 2022.01.25

특례시, 특례시 뜻과 특례시 혜택

2022년 1월 13일 부로 용인, 고양, 수원, 창원이 특례시로 승격되었습니다. 오늘은 특례시가 무엇인지, 특례시 뜻과 특례시 지정이유, 특례시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특례시 뜻 특례시는 인구 100만명 이상의 대도시가 기초자치단체 지위를 유지하면서 특례시라는 법적지위와 광역시에 준하는 행정적, 재정적 자치권한 및 재량권을 부여받는 새로운 형태의 지방자치단체 유형입니다. 기존 특별시·광역시와 구분되는 새로운 형태의 지자체에 경기 수원·고양·용인시와 경남 창원시가 특례시 명칭을 부여받았습니다. 특례시는 기초지자체의 지위는 유지하되 도시 규모에 걸맞는 행정·재정적 권한을 갖는데요. 인구소멸 위기에 내몰린 지자체에 새로운 가능성과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지방자치제도의 근간을 바꿀 획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