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뉴스나 기사를 통해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뜻과 원인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스태그플레이션 뜻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입니다.
경제불황 속에서 물가상승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 즉 장기적인 경기 침체를 뜻합니다.
2. 장기적 경기 침체의 의미
일반적으로 1년간 경제성장률이 2~3% 이하로 떨어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경제성장률이 2~3% 이하라는 것은 거의 성장이 없는 정체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원인
스테그플레이션 발생은 인플레이션과 관련이 깊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인해 발생하면 경기가 활성화되어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하지만 원자재, 인건비, 임대료 등 생산 비용의 상승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경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이 끼치게 됩니다.
그리고 부정적인 인플레이션이 지속하게 되면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이어집니다.
공급의 차질이 생길 경우에도 부정적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원유의 경우, 원유 가격이 급격히 상승되면 수입과 수출에 큰 타격이 가해지고 공장 가동에 문제가 생기게 되어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4.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2020년 코로나로 인해 경기가 위축되면서 세계적으로 끊임없이 양적 완화 정책을 펼쳐 시중에 돈을 풀었고, 시장에는 유동성이 넘치는 상태입니다.
또 원유의 가격이 급등하고 각종 원자재와 에너지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중국의 전력난으로 에너지의 가격은 더욱 상승하고 있습니다.
과도한 물가 상승, 경기 침체로 인한 GDP 감소, 실업률 증가, 경제활동의 감소 등의 상황들로 스태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5. 스태그플레이션 사례
1970년대 중반, 미국은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과 중동 전쟁으로 인한 오일 쇼크 등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했습니다.
당시 미국은 기준 금리를 20%까지 올리는 긴축 통화정책을 시행했습니다.
6. 스태그플레이션 해결 방법
현재 코로나로 인해 경제가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상태이고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보통 과도한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서는 시중 금리를 상승시켜 유동성을 회수합니다.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금리를 상승시키면 소비가 더욱 위축되면서 경기 침체가 심화될 수 있고, 경기 부양책으로 시장에 돈을 풀면 물가가 더욱 상승하는 일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부의 개입이 쉽지 않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해결을 위해서는 기술 혁신과 같은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지식채움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이퍼링 뜻과 테이퍼링 영향 (0) | 2021.11.02 |
---|---|
뱅카우, 뱅카우의 모든 것 (0) | 2021.11.02 |
미국 배터리 시장의 성장 (5) | 2021.10.27 |
미국 물류 대란과 인플레이션(Inflation) (2) | 2021.10.27 |
매력적인 현대차 (8) | 2021.10.26 |